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마크업 언어와 그 역사에 대해

by Randompedia 2023. 6. 30.
반응형

markup
이미지 출처: wikipedia

Introduction

웹의 세계에서는 여러 가지 언어들이 서로 복잡하게 얽혀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이면서 중요한 요소인 '마크업 언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이 글을 통해 마크업 언어가 무엇인지, 그 역사는 어떠한지에 대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마크업 언어란?

마크업 언어는 텍스트에 태그를 추가하여 그 의미나 구조를 명시하는 언어입니다. HTML, XML, XHTML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마크업(Markup)'은 사실 출판업에서 나온 용어로, 원고에 편집 지시를 추가하여 문서의 레이아웃, 폰트 크기, 스타일 등을 지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마크업 언어는 원래의 텍스트에 추가 정보를 '표시'하여 의미와 구조를 명확히 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HTML에서는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

<h1>이것은 제목입니다</h1>
<p>이것은 문단입니다</p>

여기서 <h1><p>는 각각 제목과 문단을 나타내는 마크업 태그입니다.

 

마크업 언어의 역사

마크업 언어는 원래 전자 출판에서 사용되었습니다. 1960년대, IBM의 연구원인 William W. Tunnicliffe가 'Generic Markup Language(GML)'을 제안했는데, 이것이 모든 마크업 언어의 시작이었습니다.

 

1985년에는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SGML)'이 ISO 표준으로 채택되었고, 이 SGML은 모든 마크업 언어의 기본 틀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1990년대 초반, 웹의 아버지로 불리는 팀 버너스-리가 웹을 위한 새로운 마크업 언어인 HTML을 제안하였습니다. 이 HTML은 SGML의 서브셋으로, 웹 페이지의 구조와 내용을 기술하기 위한 주요 도구가 되었습니다.

 

참조:

하이퍼텍스트일반 텍스트를 넘어서 웹 페이지나 다른 텍스트 문서로의 링크를 포함하는 텍스트입니다.

HTML은 이 하이퍼텍스트를 구현하는 주요 도구 중 하나로, 웹 페이지 간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하이퍼링크'를 생성할 수 있는 마크업 언어입니다.

<!DOCTYPE html>
<html>
    <head>
        <title>My First Web Page</title>
    </head>
    <body>
        <h1>Welcome to My Website!</h1>
        <p>This is a paragraph. Click <a href="https://www.example.com">here</a> to go to another page.</p>
    </body>
</html>

이 코드에서 here 부분이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생성하는 코드입니다. 이 링크를 클릭하면 사용자는 https://www.example.com 이라는 웹 페이지로 이동하게 됩니다.

여기서 <h1>, <p>, <a> 등의 태그는 HTML의 마크업 요소로, 웹 페이지의 각 부분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어떻게 표시되어야 하는지를 정의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마크업 요소들을 조합하여 다양한 구조와 디자인의 웹 페이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Conclusion

연도 발전사항 세부내용
1960년대 GML 제안 William W. Tunnicliffe가 Generic Markup Language 제안
1985년 SGML 표준화 SGML이 ISO 표준으로 채택
1990년대 HTML 등장 팀 버너스-리가 HTML 제안
현재 HTML 활용 웹 페이지 제작의 핵심 도구

마크업 언어는 웹의 기초적인 요소입니다. 그 복잡해 보이는 태그들 사이에는 웹 페이지의 구조와 의미가 숨어 있습니다. 우리가 웹을 보거나 사용할 때, 그 기초적인 동작 방식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마크업 언어에 대해 잘 알아두는 것은 웹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마크다운에 대해서 궁금하시다면 클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