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노드(Node)와 엣지(Edge), 어디에 쓰이나요?
소셜미디어, 네트워크 구조, AI까지… “노드”와 “엣지”라는 용어가 자주 나와요. 정확히 어떤 개념인가요?
노드(Node)와 엣지(Edge)는 관계와 구조를 설명할 때 자주 등장하는 핵심 개념입니다. 이는 그래프 이론(Graph Theory)이라는 수학적 구조에서 유래되었으며, 현실 세계의 다양한 시스템을 시각화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돼요. 예를 들어 SNS에서는 사람 하나하나가 노드이고, 친구 관계는 엣지로 표현됩니다. 도로망에서도 도시가 노드, 도로가 엣지가 되죠.
🟡 노드(Node)란?
- 데이터 단위 – 사람, 도시, 컴퓨터, 웹 페이지 등 특정 대상을 의미
- 그래프에서는 원으로 표시 – 하나의 노드가 하나의 개체를 나타냄
- 예시: 친구관계에서 ‘한 사람’, 도로망에서 ‘한 도시’
🔗 엣지(Edge)란?
- 노드 간의 연결 – 관계, 거리, 링크 등으로 표현
- 그래프에서는 선으로 표시 – 방향이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음
- 예시: 사람들 간의 친구 관계, 도시 간 고속도로
📊 어디에 쓰이나요?
분야 | 활용 예시 |
---|---|
SNS 분석 | 사람(노드) 간 팔로우 관계(엣지) |
교통 시스템 | 도시(노드)와 도로 연결망(엣지) |
추천 시스템 | 사용자-상품 간 관계 매핑 |
AI 학습 구조 | 지식 그래프, 그래프 뉴럴넷 등 |
✅ 알아두면 좋은 추가 개념
- 방향 그래프 – 엣지에 방향이 있음 (A → B)
- 무방향 그래프 – 엣지에 방향이 없음 (A — B)
- 가중치 그래프 – 엣지에 숫자값 부여 (거리, 비용 등)
- 트리 구조 – 위계적 관계를 가진 그래프 형태
결국 노드와 엣지는 단순한 개념처럼 보여도, 우리가 사는 세상 곳곳의 관계를 해석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매우 중요한 도구입니다. 소셜미디어 알고리즘, 네비게이션 경로 탐색, 추천 시스템까지 — 이 모든 기술의 기반에 그래프가 있고, 그 구성 요소가 바로 노드와 엣지입니다.
※ 본 글은 그래프 이론의 기초 개념인 노드와 엣지를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 자료입니다.
반응형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 주소, 인터넷 세계의 집주소 (0) | 2023.12.19 |
---|---|
수직 동기화(V-Sync) 알고 게임하자 (0) | 2023.12.19 |
1차전지와 2차전지에 대해 (0) | 2023.12.18 |
인코딩과 디코딩: 디지털 세계의 언어 변환 (0) | 2023.11.25 |
10진수, 2진수, 16진수에 대하여 (0) | 2023.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