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ntroduction
기업의 수익이나 영업 이익과 같은 재무 데이터는 투자자들이 기업의 가치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이런 재무 데이터를 바탕으로 투자자들은 주식의 가치를 추정하고, 이에 따라 투자 결정을 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이런 재무 데이터는 '예상치'와 '실제 발표치'로 나눌 수 있다는 것입니다.
어닝쇼크(Earnings Shock)
"어닝쇼크"는 기업의 실적이 시장의 예측치보다 현저히 낮을 때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예를 들어, 시장이 예상한 기업의 실적이 100억원이었는데, 실제로 발표된 실적이 50억원이라면 이를 어닝쇼크라고 합니다. 어닝쇼크는 투자자들이 기업에 대해 기대하던 것보다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이로 인해 해당 기업의 주가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어닝서프라이즈(Earnings Shock)
반면에 "어닝서프라이즈"는 기업의 실적이 시장의 예측치를 뛰어넘을 때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예를 들어, 시장이 예상한 기업의 실적이 100억원이었는데, 실제로 발표된 실적이 150억원이라면 이를 어닝서프라이즈라고 합니다. 어닝서프라이즈는 투자자들에게 기업이 기대 이상의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는 신호를 보내며, 이로 인해 해당 기업의 주가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Conclusion
예상치 (100억원) | 실제 발표치 | 결과 | |
어닝쇼크 | 100억원 | 50억원 | 기대 이하의 성과 |
어닝서프라이즈 | 100억원 | 150억원 | 기대 이상의 성과 |
어닝쇼크와 어닝서프라이즈는 기업의 재무 상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도구입니다. 이들은 투자자들이 기업의 성과를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투자자로서는 이런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어야, 자신의 투자 결정에 확신을 가질 수 있습니다.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시경제와 미시경제란? (0) | 2023.06.30 |
---|---|
GDP란 무엇인가? (0) | 2023.06.30 |
근원 소비자물가 지수(Core Consumer Price Index)는 무엇인가? (0) | 2023.06.29 |
소비자 물가 지수(CPI)와 생산자 물가 지수(PPI) 이해하기 (0) | 2023.06.29 |
기축통화란 무엇인가? (0) | 2023.06.29 |